본문 바로가기
슬라브어파/우크라이나어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2. 우크라이나어의 명사 분류 - 성과 변화 체계 구분하기

by LinguaDoya 2023. 8. 30.

명사 체계

우크라이나어의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으로 구분되며 격변화시 끝자가 무엇이냐에 따라 다른 변화를 거친다. 변화 양상은 강변화, 약변화, 혼합변화가 있다.

 

남성명사는 자음 또는 연음 기호 ь로 끝난다.

여성명사는 а 또는 я로 끝난다.

중성명사는 о 또는 е로 끝난다.

 

е, є, о 로 끝나는 외래어 상당수는 격변화를 하지 않는다.(e.g. аташе, фойє, метро)

1. 강변화 명사

1) 남성명사

· б, в, г, ґ, д, з, к, л, м, н, п, с, т, ф, х 로 끝나는 경우(e.g. посуд, чоловік, аналіз)

· 위의 자음 + о 으로 이루어진 가족 어휘나 일부 이름들의 경우(e.g. батько, Петро, тато, Дмитро)

· р 로 끝나는 몇몇 명사(e.g. долар, сир)

2) 여성명사

· б, в, г, ґ, д, з, к, л, м, н, п, с, т, ф, х + а 의 경우(e.g. кімната)

(이런 형태인 남성명사도 있음에 주의)(e.g. Микола)

3) 중성명사

· б, в, г, ґ, д, з, к, л, м, н, п, р, с, т, ф, х + о 의 경우(e.g. село, місто, перо)


2. 약변화 명사

1) 남성명사

· д, дз, з, л, н, с, т or ц + ь 의 경우(e.g. кінь, хлопець, зять)

· 모음 + й 의 경우(e.g. Андрій, чай)[각주:1]

· р 로 끝나는 몇몇 명사(e.g. поштар, лікар)

2) 여성명사

· д, дз, з, л, н, с, т, ц + я 의 경우(e.g. учениця, Оля, німкеня, гостя)

(이런 형태인 남성명사도 있음에 주의)(e.g. суддя)

· -ря 로 끝나는 경우(e.g. буря)

· 모음 + я 의 경우(e.g. надія, Марія)

2) 중성명사

· л, р, ц + е 의 소수의 토착 단어(e.g. поле, лице, море)

· 모음 + є 인 경우(대부분 고어)(e.g. Євангеліє)

· 동일 연속자 + я 의 경우(e.g. життя, заняття)

(стаття만 예외적으로 여성)


3. 혼합변화 명사

1) 남성명사

· ж, ч, ш, щ 로 끝나는 경우(e.g. ніж, меч, марш, плющ)

2) 여성명사

· ж, ч, ш, щ + а 의 경우(e.g. вежа, груша, площа)

3) 중성명사

· ж, ч, щ + е 의 경우(e.g. віче, ложе, прізвищ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