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슬라브어파/우크라이나어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1. 우크라이나어의 기초

by LinguaDoya 2023. 8. 27.

정보

우크라이나어에는 다양한 지역적 방언이 있는데, 우리가 배울 우크라이나 표준어는 중앙 드니프로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SVO 어순이지만 다른 어순도 가능하다.

격변화

3성: 남성, 여성, 중성

수: 단수, 복수

7격: 주격(Nom.), 생격(Gen.), 여격(Dat.), 대격(Acc.), 조격(Inst.) '~로써', 전치격(Loc.) '~에서', 호격(Voc.)

 

명사 구분 - 활동체(사람, 동물), 비활동체(식물, 사물)

 

형용사도 명사의 성, 수, 격에 일치함.

동사 활용

동사의 기본형은 -ти이다(한국어로 치면 '~하다').

 

4시제: 과거, 과거완료, 현재, 미래

2태: 능동, 중수동태(mediopassive)

 

완료상, 불완료상 구분.

기초어휘

1) 인칭대명사

  Sg. Pl.
1p. Я Ми
2p. Ти Ви
3p. Він/Вона/Воно Вони

2) 소유대명사

 Nom. Sg. Pl.
M. F. N.
Я мій моя́ моє́ мої
Ти твій твоя́ твоє́ твої
Він/Вона/Воно його́/її́/його́
Ми наш на́ша на́ше на́ші
Ви ваш ва́ша ва́ше ва́ші
Вони їхній їхня їхнє їхні
 
й는 반모음이기 때문에 강세가 올 수 없으며, 단어 안에 ї가 올 경우 그 위에 강세가 온다.
표시가 잘 보이지 않지만 її에서 강세는 뒤에 적혀 있다.
 
뒤에 오는 단어의 성과 수에 맞춰 다른 단어를 사용한다.
мій син 나의 아들
моя́ дочка́ 나의 딸
моє́ вікно́ 나의 창문
мої брати́ 나의 형제들
його́ брат/сестра́ 그의 형제/여자형제
її́ брат/сестра́ 그녀의 남매/자매
...

3) 의문사

누구 хто 누구/ яки́й 어떤
언제 коли́
어디서 де
무엇 що
어떻게 як
чому́/наві́що

회화

Так/Ні - 예/아니오

До́брого ра́нку! 좋은 아침입니다.

До́брий день! 좋은 날입니다.

До́брий ве́чір! 좋은 저녁입니다.

Добра́ніч! 잘 자요!

 

Як ва́ше ім'я́?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FR: Quel est votre nom?)

Як вас звуть?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FR: Ils vous appellent comment?)

Як вас по ба́тькові? 당신의 부칭은 무엇입니까?

Як ва́ше прі́звище? 당신의 성은 무엇입니까?

 

Ду́же приє́мно.(Мені ду́же приє́мно познайо́митися з ва́ми.) 만나서 반갑습니다.

До зу́стрічі! 안녕(헤어질 때)

 

що/хто 무엇/누구

це/то 이/저

 

Що це? 이것은 무엇입니까?

Що то? 저것은 무엇입니까?

Хто це?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Хто то? 저 사람은 누구입니까?

 

(Ду́же) Дя́кую. (매우) 감사합니다.

- Про́шу. 천만에요.

기초 문법 지식

1) 명사의 성 구분

앞에서 표로 제시한 인칭대명사 Він/Вона/Воно를 보면 단서를 얻을 수 있다. 

남성명사는 자음 또는 연음 기호 ь로,(син 아들, оліве́ць 연필)

여성명사는 а 또는 я로,(до́нька 딸, ки́ця 고양이)

중성명사는 о 또는 е로 끝난다.(не́бо 하늘, мо́ре 바다)

2) 동사의 생략

'A는 B이다' 구문에서 동사 є가 생략된다.

Столиця України — Київ 우크라이나의 수도는 키이우이다.
Одеса — обласний центр 오데사는 지역의 중심이다.
Це газе́та. 이것은 신문이다.
Це журна́л. 이것은 잡지이다.

3) 의문문 형성

의문사를 문장 앞에 두어 만들거나, 의문사가 없는 문장의 경우

(1) чи를 문장 앞에 쓴다.

(2) 억양을 올린다.

4) 부정문 형성

부정문은 not에 해당하는 не를 동사 앞에 쓴다.

Я не зна́ю. 나는 알지 못한다.
Моя́ кімна́та не га́рна. 내 방은 좋지 않다.(не є에서 є가 생략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