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라어파/아티케 그리스어 | Ἀττική διάλεκτος

2. 아티케 그리스어의 동사 활용 - Active(능동) 현재형

by LinguaDoya 2023. 8. 21.

아티케 그리스어의 동사는 꽤 규칙적으로 변한다. 인칭과 수에 따라 어미를 달리하는데, 어간모음과의 축약이 존재하긴 하지만 그 또한 매우 규칙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초반에 어미만 잘 외우면 초급 단계에서는 어려움이 없다. 

참고로 아티케 그리스어 동사에 현재진행형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시작해보자.


1. Non-contract

Non-contract verbs는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 어미와 충돌하지 않아 축약이 없는 동사들이다. 어간 뒤에 어미만 붙이면 되니 가장 쉬운 동사라 할 수 있겠으나 아쉽게도 이런 동사는 많지 않다. 아래 예시를 보며 아티케 그리스어의 동사 인칭어미를 학습해보자.

 

이끌다

 

맨 위의 λέγω는 기본형이며 λέγειν은 Infinitive(Inf.: 부정사형)이다.[각주:1]

 

서두르다

 

2p.Sg.Imp.에서 액센트의 변화가 있다.

σπευ-δε는 장음+단음의 조합인데 이때 장음 위의 acute는 circumflex로 바뀐다.

2. ε contract

ε(엡실론) 축약이 일어나는 동사가 가장 일반적이니 잘 알아두도록 하자.

 

살다, 거주하다

 

οἰκέ가 어간이다. 어미는 모두 모음으로 시작하므로 빠짐없이 모음 축약이 일어난다. 규칙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ε+ω> ω
2. ε+ε, ει> ει
3. ε+ο, ου> ου

 

의문 : 액센트는 왜 변하는가?

답변 : 일단 축약이 일어난 후의 형태들의 공통점을 보자. 모두 장모음이 되었다. 음 길이가 길어졌으니 액센트도 그에 맞게 변하는 것이 자연스럽다(circumflex는 acute보다 지속 시간이 2배 길기 때문). 따라서 이 액센트들은 circumflex로 바뀌는 것이다.

 

그런데 2p.Sg.Imp.의 경우는 왜 예외적일까? οἰκεῖ가 아니라 οἴκει가 되었으니 말이다.

여기에는 다른 법칙이 작용한다. 액센트가 자리를 옮겨버리는 조건이 있다.

 

동사 활용형을 만드는 과정에서 단음이 붙으면 액센트는 앞으로 하나 멀어진다.

 

(물론 antepenult보다 멀어질 순 없다.)

οἰκέω 살다: οἴκε-+-ε> οἴκει 살아라
ἐλαύνω 이끌다: ἔλαυν-+-ε> ἔλαυνε 이끌어라
φιλέω 사랑하다: φίλε-+-ε> φίλει 사랑하라

 

다른 동사 활용 어미를 보면 모두 장음이거나 2음절이다. 그렇기에 이들은 곧바로 축약하는 것이며, 오직 단음 어미가 붙는 2p.Sg.Imp.에서만 액센트의 이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3. α contract

α(알파) 축약이 일어나는 동사는 가장 어려우므로 축약 규칙을 잘 숙지하자.

 

존경하다

 

축약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α+ω, ο, ου> ω
2. α+ει> ᾳ
3. α+ε> ᾱ

 

단 Inf.는 예외이다. τῑμᾷν이 아니라 τῑμᾶν이다.

Imp.에서 역시 같은 이유로 액센트가 이동한다.

4. ο contract

매우 적은 동사만이 이 부류에 속한다.

(나중에 추가 예정)


 

  1. 형식은 다음과 같다. 앞으로 이 형식에 맞게 글을 작성할 예정이니 알아두도록 하자.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