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이트 이용
https://www.tablesgenerator.com/latex_tables#
Create LaTeX tables online – TablesGenerator.com
You can import table data by uploading file in CSV format (Comma Separated Value). Most spreadsheet software, both desktop and online, allows to save tabular data in CSV format — it is usually available in the File menu under the name "Save As..." or "Ex
www.tablesgenerator.com
예시로 입력하였다. Generate를 누르면 표 코드를 출력해준다.
옵션을 잘 보시길. multiple pages는 설정하는 게 좋다. 왜냐하면 저걸 빼니 표가 페이지 한가운데에 들어가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에서 수정해주어야 하는 것이 있다.
일단
\endfirsthead
%
\endhead
%
를 삭제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위에 있는 부분이 열 제목 처리가 되어서 표가 이상하게 출력된다.
두번째는 longtable을 longtblr로 바꾸는 것이다. 이것은 tabularray 패키지의 기능인데, preamble에 써야 하는 코드는 아래 글의 6.을 참고하라.
유용한 패키지 정리 - Preamble
1. 기본 사항\documentclass[14pt]{extarticle}%많은 class중 article 을 불러옴%article book report amsart amsbook memoir oblivoir 등이 있음. 문서의 형식을 정함.%article은 \chapter 명령어가 없는 글이고, book은 있다. \usepac
dsblog.tistory.com
또 \begin{longtable}[l]{|l|l|}과 같이 [l]을 사이에 넣는다. 이것은 왼쪽 정렬을 의미한다.
2. 표 선 굵기 변경, 배경색 칠하기
이제 표의 기본적인 틀을 잡았다.
열의 선 굵기는 [2pt](혹은 px)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표에서 가운데 선을 굵게 하고 싶다면 가운데 선의 바로 뒤에 []를 넣어준다. [|l|[2pt]l|]
배경색은 \SetCell 혹은 \SetRow 등을 이용한다. {}를 붙이고 안에 bg=(배경 색상 이름), fg=(글자 색상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
https://en.wikibooks.org/wiki/LaTeX/Colors
LaTeX/Colors - Wikibooks, open books for an open world
From Wikibooks, open books for an open world Adding colors to your text is supported by the xcolor package (supersedes package color). Using this package, you can set the font color, text background, or page background. You can choose from predefined color
en.wikibooks.org
위에서 링크한 내 블로그 글에 나온 것처럼 preamble에 dvipsnames를 넣어두면 꽤 많은 지정된 색상 이름을 쓸 수 있다.
물론 이 위키북스 링크에 들어가면 RGB나 HTML을 이용해 내 색을 지정하는 방법이 나온다. 내 블로그 링크에도 \definecolor 사용법을 적어놓았다.
3. 표 위 아래에 위치한 글과의 여백 문제
표와 글 사이 여백이 너무 큰 문제가 있었다.
나는 만능 여백 생성/제거 코드인 \vspace{-10pt}를 이용하였다.
케이스를 분류해 보자.
3.1. 표 위 제목(스타일은 일반 글)과 아래 주석(표의 보충 설명 부분)에 넣기.
예시)
<주인> (남성이지만 1변화(여성적))
\vspace{-10pt}
\begin{longtblr}[l]{|l|l|}
\hline
ὁ δεσπότης & οἱ δεσπόται \\ \hline
\SetCell{bg=Myyellow} τοῦ δεσπότου & τῶν δεσποτῶν \\ \hline
τῷ δεσπότῃ & τοῖς δεσπόταις \\ \hline
τὸν δεσπότην & τοὺς δεσπότᾱς \\ \hline
δέσποτᾰ & δεσπόται \\ \hline
\end{longtblr}
\vspace{-10pt}
{*}강조는 남성적으로 변화
전후 비교)
여백이 잘 줄어들었다.
3.2. 주석과 다음 표의 제목(혹은 글)과의 여백 처리
1) 줄바꿈만 했을 경우
\end{longtblr}
\vspace{-10pt}
{*}강조는 λ가 없는 것\\
명사\\
2) 줄바꿈을 두 번(한 줄 띄기)했을 경우
\end{longtblr}
\vspace{-10pt}
{*}강조는 λ가 없는 것\\
\\
명사\\
3) 2)에서 vspace로 여백을 살짝 줄여줄 경우
\end{longtblr}
\vspace{-10pt}
{*}강조는 λ가 없는 것\\
\vspace{-10pt}
\\
명사\\
실험 결과 3)이 최적의 결과를 출력했다.
따라서
{*}표 주석\\
\vspace{-10pt}
\\
다음 표 제목
이것을 하나의 서식으로 익혀야 하겠다.
'Late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패키지 정리 - Preamble과 본문 (0) | 2025.03.23 |
---|---|
IPA 확장 기호 in pdflatex without tipa 2 (1) | 2024.12.16 |
IPA 확장 기호 in pdflatex without tipa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