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어는 명사와 형용사가 격변화(Declension)을 한다.
크게 3가지로 변화 양상을 나눌 수 있으며 본 글에서는 1, 2변화만 다룰 예정이다(3변화는 불규칙이 많은 변화이다).
형용사는 명사의 성에 맞춰 변화시키면 된다. 명사와 형용사의 격변화 어미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이 묶어서 외우자.
대다수의 여성명사는 1변화를, 남성명사는 2변화를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고, 그 후 소수의 몇 가지 예외를 알아두면 된다.
이 글은 정리의 목적이 있어 1변화부터 서술하고 있지만, 처음 고전 그리스어를 배우는 사람에게는 2변화를 먼저 배우는 것을 추천한다. 1변화는 그 내부에 분류된 유형이 있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니까)
시작해보자.
1변화에는 다음의 4가지 유형이 있다.
유형에 따른 어미의 차이는 단수에서만 있고 복수는 모두 똑같이 규칙적이다.
알아둘 것: Nom.과 Voc.는 형태가 동일하다.
Nom.을 제외하고는 정관사의 diacritic과 명사, 형용사의 diacritic이 일치한다.
정관사와 격어미는 비슷한 ending을 가지고 있다.
1변화
Type 1 : ᾱ stem 의 경우
καλή는 새로운 단어가 아니라 '아름다운'을 뜻하는 καλός가 여성명사를 꾸미기 위해 여성형으로 바뀐 것이다
ᾱ stem인데 stem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Type 1의 경우가 ᾱ stem이 모두 η로 바뀌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Gen.과 Dat.에서 액센트는 circumflex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Sg.Dat.에는 정관사의 그것처럼 iota subscript가 붙는다.
의문: Sg.Gen., Dat.에서 왜 καλή는 circumflex로 바뀌고(καλῆς) κρήνη는 바뀌지 않는가(κρήνης)?
답변: 마지막 음절에 액센트가 있는 단어의 경우에만 Sg.Gen., Dat.가 circumflex로 바뀌는 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κρήνη는 ultima가 아니라 penult에 액센트가 있어 바뀌지 않았다.
의문: circumflex는 장+단 조합에서만 올 수 있는 것인데, Pl.Nom., Voc.에서 어떻게 κρῆναι가 되었는가?
답변: Pl.Nom., Voc.의 -αι(여성)나 -οι(남성)은 단음절로 취급하는 규칙이 있다.
의문: 왜 Pl.Gen.에서는 κρήνων이 아니라 κρηνῶν이 되었는가?
답변: 여성명사 Pl.Gen.은 예외적으로 ultima에 circumflex가 온다고 외워두자. 1
Type 2 : ε, ι, ρ + ᾱ stem 의 경우
Type 2에서는 ᾱ stem이 모두 드러났다.
iota subscript가 붙은 ᾳ는 장음이기 때문에 Sg.Dat.에서도 ᾱ stem이 일관적으로 드러난다.
Type 3 : ᾰ stem 의 경우
Sg.Gen., Dat.에서 stem의 ᾰ는 η로 바뀐다.
액센트가 이동하여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아주 명료한 규칙 하나만 알아두면 된다.
3음절인 단어의 끝에 단음+장음 조합이 오는 경우 액센트는 뒤로 한 칸 당겨져 단음 위로 온다.
원래 명사와 형용사의 액센트는 persistent, 즉 Sg.Nom.에서의 그 자리를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지만 이 규칙은 그 성질보다 강력하다.(추측컨대 발음 편이의 영향이 있는 것 같다.)
Type 1에서 설명한 것처럼 Pl.Nom.의 αι는 단음 취급되기 때문에 액센트가 옮겨지지 않은 반면, Pl.Dat.은 μελίτταις처럼 옮겨지는 등 변화가 있다.
Type 4 : ε, ι, ρ + ᾰ stem 의 경우
Sg.Gen., Dat.에서 stem의 ᾰ는 ᾱ로 변한다.
아래는 필자가 정리한 도식이다. 변화는 단수에서만 적용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2변화
2변화 명사는 대부분 남성, 중성명사이다.
1) 남성

2) 중성

M.Sg.에서 Nom.과 Voc.가 일치하지 않는 예외가 있다.
중성명사의 격변화를 외우는 방법은 간단하다.
1. 일단 남성명사의 변화를 외운다.
2. 중성명사의 Nom. 형태를 외운다. => Acc., Voc.의 형태와 똑같으므로 세 격이 자동으로 외워진다.
3. 나머지 두 격인 Gen.과 Dat.는 이미 외워둔 남성명사의 변화 방식과 똑같으므로 따로 외울 필요가 없다.
!주의할 점!
N.Pl.에서 Nom.과 Acc.는 정관사까지 같지만, Sg.은 둘의 정관사가 다름에 주의하라.
3) Accent shifting 현상
(1) 단음으로 끝나는 3음절 단어

3음절 단어에서 마지막 음절이 단음으로 끝나면 antepenult에 액센트가 오고(ἄνθρωπε), 마지막 음절이 장음이 되면 penult에 액센트가 온다(ἀνθρώπου).
복수의 어미 οι는 단음 취급된다.
(2) 장+단 circumflex

circumflex는 장음 + 단음의 경우에서 장음 위에 온다(οἶκον). 하지만 이 전제조건이 해체될 경우(장+장으로 바뀔 경우) circumflex는 acute로 바뀐다(οἴκου).
이렇게 2변화 명사까지 배워보았다.
예외적인 명사
대부분의 1변화는 여성, 2변화는 남성, 중성이지만 반대의 경우가 있다.
정관사는 명사의 원래 성을 따라간다. 명사의 형태가 다르게 변하는 것뿐이다.
1변화를 하는 남성명사

남성명사임에도 여성적으로 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명사들은 Sg.Gen.이 여성적이지 않고 남성적이기 때문에(-ου) 이러한 예외에 해당하는 명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인을 뜻하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δεσπότ-ης, ου, ὁ; voc. δέσποτᾰ 라고 나와있다. 2
첫번째는 Sg.Nom.을 stem을 밝혀 적은 것, 두번째는 Sg.Gen.인데 이를 제시하는 이유는 주격이 여성적으로 보이더라도 남성적인 속격을 보고 예외적인 명사임을 알아차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세번째는 이 명사의 성, 마지막에는 완전히 불규칙적인 변화형인 Voc.형을 보여주고 있다.[footnote]명사, 형용사의 변화형에서 액센트가 뒤로 가는 경우는 있어도 앞으로 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경우는 그야말로 불규칙인 것이다.[/footnote]
2변화를 하는 여성명사


남성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ultima가 장음이 되면 액센트가 acute로 바뀌고 있다.
여성명사는 Pl.Gen.에서 ultima에 circumflex가 온다는 사실을 기억하는가? 하지만 νῆσος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이 명사가 실질적으로는 '남성적'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래 본 글에서는 1, 2변화만 다루려고 하였으나, 3변화의 형태를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한다.
3변화 어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지만 stem 끝자음의 발음적 특성에 따라 축약이나 탈락이 일어나고, 매우 불규칙적인 명사가 많다. 이를 모두 적기에는 글이 길어지기 때문에 3변화를 다룬 글을 따로 링크한다.
(미완성)그리스어 명사, 형용사 3변화 총정리
3변화 3변화 어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제 stem 끝자음의 발음적 특성에 따라 축약이나 탈락이 일어나는 경우를 알아보자. 1. stem이 연구개음(velar)으로 끝나는 경우 {γ κ χ} 눈여겨볼 만
dsblog.tistory.com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 궁금한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τάων καλάων κρηνάων(κρήν-에 -αων이 붙으면서 단+장 조합에 의해 액센트가 당겨짐)이 축약되어 τῶν καλῶν κρηνῶν이 된 것 [본문으로]
- 《Logeion》, 〈https://logeion.uchicago.edu/%CE%B4%CE%B5%CF%83%CF%80%CF%8C%CF%84%CE%B7%CF%82〉 [본문으로]
'헬라어파 > 아티케 그리스어 | Ἀττική διάλεκτος'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아티케 그리스어의 불규칙 형용사와 부사 형성법 (0) | 2023.08.22 |
---|---|
3-2. 아티케 그리스어의 명사, 형용사 3변화(격변화) (0) | 2023.08.21 |
2. 아티케 그리스어의 동사 활용 - Active(능동) 현재형 (0) | 2023.08.21 |
1-2. Enclitic과 Proclitic (0) | 2023.08.21 |
1-1. 액센트에 대한 필수적이고 기초적인 지식 (0)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