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Yale을 배워보자
광동어를 처음에는 Jyutping(윗핑)으로 배웠는데, 인터넷에서 교재를 찾아보니 Yale식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Yale식 표기를 배워야겠다.
먼저 하나의 소리에 대한 다른 표기를 대응하면 다음과 같다.
Jyutping | Yale |
j | y |
z | j |
c | ch |
다음은 성조 표기를 배워보자.
Yale 표기의 특징은 무음 h를 사용해 성조를 구분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악센트 표기가 3개밖에 없기 때문이다.
h가 모음 뒤에 들어가면 4, 5, 6성의 낮은 톤에서 발음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중요한 것은 1성에서 grave 표기를 쓴다는 것인데, 이는 중국어의 4성처럼 발음하는 것이 아니다. 사실상 high-flat과 똑같다.
https://youtu.be/NM7tXfXnCzM
위 영상을 보면 언어적으로 high-falling이 high-flat에 흡수되었고, Yale도 이제는 둘을 동일취급한다고 한다. 따라서 옛날 책이 아니면 h 없는 grave 표기를 볼 일이 없다.
https://www.cantonese.sheik.co.uk/phorum/read.php?1,92962,92985
high-falling에 대한 논의를 더 보고 싶다면 여기로.
1.1. 비교해보기 - 시 ' 春曉(춘효)'
이제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온 '춘효'라는 시의 표기를 비교하여 보자.
春曉 - 孟浩然
ceon1 hiu2 - maang6 hou6 jin4
chēun híu - maahng houh yìhn
Jyutping | Yale | |
春眠不覺曉, | ceon1 min4 bat1 gok3 hiu2, | chēun mìhn bāt gok híu, |
處處聞啼鳥。 | cyu3 cyu3 man4 tai4 niu5. | chyu chyu màhn tàih níuh. |
夜來風雨聲, | je6 loi4 fung1 jyu5 sing1, | yeh lòih fūng yúh sīng, |
花落知多少? | faa1 lok6 zi1 do1 siu2? | fā lohk jī dō síu? |
2. eu vs oe/eo
LSHK의 oe, eo 열과 Yale의 eu 열만 보면 된다. LSHK에서는 oe, eo로 나눠져 있는 것이 Yale에서는 eu 하나로 합쳐진 것으로 보면 된다. LSHK의 이러한 방식은 Jyutping과 같다. 나머지는 큰 차이가 없다. 즉 eu의 표기는 Jyutping과 Yale의 큰 차이 중 하나이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발음을 확인할 수 있다.
/ø/ [œː, ɵ] 열만 보면 된다. Jyutping이 eu를 두개로 구분한 이유는 발음의 차이를 담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나는 Jyutping의 oe, eo 구분 표기가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eoi(eui)의 경우 i 모음이 원순화되는 것에 주의하자.
3. Jyutping이냐 Yale이냐. 무엇을 쓸 것인가?
예일과 윗핑 모두 써본 결과, 자료의 양에 있어서 윗핑이 훨씬 우세함을 느꼈다. 무료 pdf 교재는 예일로 되어 있었지만 유튜브에서 볼 수 있는 절대다수의 콘텐트가 윗핑으로 되어 있었다. (홍콩인 지인도 윗핑이 익숙하다고 한다.)
또 효율과 기억의 측면에서도 윗핑을 선호하게 되었다.
예일식으로 쓰인 단어를 읽을 때 성조가 눈에 먼저 들어오지만 그 뒤에 h가 붙어있는지까지 파악이 끝나야 비로소 제대로 된 성조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딜레이가 생긴다. 표기도 더 길어지기 때문에(특히 yéuhng과 같은 경우) 기억이 더 어렵다(joeng5 보다).
그리고 Jyutping이 eu를 oe와 eo로 쪼개어 표기하기 때문에 더 직관적이다(oe - [œ]가 직관적으로 연결된다).
4. 대안적 표기 'doyacanto'의 제안
Jyutping이 Yale보다 상대적으로 기억하기 쉽다는 것 뿐(이것도 확실하지 않다), 기억에 아주 용이한 표기법은 아니다. Jyutping이 직관적으로 성조를 보여주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죽하면 words.hk라는 앱에서는 아래와 같이 성조 그림과 숫자를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Jyutping의 숫자가 성조 이미지(상승과 하강 등)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을 반증한다.
그렇다면 어떤 표기법이 기억에 가장 도움이 되는가? 다른 대안은 없을까? 나는 'doyacanto' 표기법을 제시한다.
먼저 기본적으로 Yale 표기법과 같은 다이어크리틱을 활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성조 이미지를 표기에 최대한 반영하여 기억에 직접 연계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음으로 Yale에서 불편함을 주었던 '4, 5, 6성의 h' 사용을 폐기한다. 앞서 말한 h의 불편함에 더해, 필자는 독일어에서 모음 뒤 h가 장모음을 만드는 규칙이 간섭하여 모음 뒤 h 단어를 장모음으로 읽게 되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다른 방식으로 대체한다.
다음으로 Jyutping의 eo/oe 분리 표기를 채택한다.
추가적으로 eoi의 표기를 발음에 더 가깝게 eoy로 적는다.
Jyutping | Yale | doyacanto |
j | y | y |
z | j | z |
c | ch | c |
eo/oe | eu | eo/oe |
eoi | eui | eoy |
1 | ā | ā |
2 | á | á |
3 | a | a |
4 | àh | à |
5 | áh | ǎ |
6 | ah | ạ |
Yale에서 더이상 high-falling accent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4성을 표기하는 데 사용한다.
5성은 저음부에서 올라오는 특성을 담아 v표로 표기한다.
6성은 저음에 머무르는 특성을 담아 .으로 표기한다. 이것은 베트남어의 성조 표기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4.1. 표기 비교
광동어 | Jyutping | Yale | doyacanto |
一碗細牛腩麵一百碟 | jat1 wun2 sai3 ngau4 naam5 min6 jat1(7) baak3(8) dip6(9) |
yāt wún sai ngàuh náahm mihn yāt baak dihp |
yāt wún sai ngàu nǎam mịn yāt baak dịp |
等我睇吓其他嘅有冇爛呢 | dang2 ngo5 tai2 ha5 kei4 ta1 ge3 jau5 mou5 laan6 ne1 | dáng ngóh tái háh kèih tā ge yáuh móuh laahn nē | dáng ngǒ tái hǎ kèi tā ge yǎu mǒu lạan nē |
我要搭飛機返英國, 請問去飛機場要搭幾多號巴士阿? | ngo5 jiu3 daap3 fei1 gei1 faan1 jing1 gwok3, ceng2 man6 heoi3 fei1 gei1 coeng4 jiu3 daap3 gei2 do1 hou6 ba1 si2 a3? | ngóh yiu daap fēi gēi fāan yīng gwok, chéng mahn heui fēi gēi chèuhng yiu daap géi dō houh bā sí a? | ngǒ yiu daap fēi gēi fāan yīng gwok, céng mạn heoy fēi gēi còeng yiu daap géi dō họu bā sí a? |
'춘효'를 doyacanto로 적어보자.
Jyutping | Yale | doyacanto | |
春眠不覺曉, | Ceon1 min4 bat1 gok3 hiu2, | chēun mìhn bāt gok híu, | cēon mìn bāt gok híu, |
處處聞啼鳥。 | cyu3 cyu3 man4 tai4 niu5. | chyu chyu màhn tàih níuh. | cyu cyu màn tài nǐu. |
夜來風雨聲, | Je6 loi4 fung1 jyu5 sing1, | yeh lòih fūng yúh sīng, | yẹ lòi fūng yǔ sīng, |
花落知多少? | faa1 lok6 zi1 do1 siu2? | fā lohk jī dō síu? | fā lọk jī dō síu? |
4.2. 사용 방법
doyacanto를 키보드로 입력할 때 사용할 수 있는 MSKLC 키보드 파일을 첨부하겠다. 1
성조 | 입력 | 예시 |
1성 | - + 모음 | ā ē ī ō ū |
2성 | / + 모음 | á é í ó ú |
3성 | 없음 | a e i o u |
4성 | ] + 모음 | à è ì ò ù |
5성 | [ + 모음 | ǎ ě ǐ ǒ ǔ |
6성 | ' + 모음 | ạ ẹ ị ọ ụ |
m, ng | 자음(선 입력) + {AltGr + -, /, ], [, '} | m̄ ḿ m̀ m̌ ṃ nḡ nǵ ng̀ nǧ ng̣ |
* 대문자는 지원되지 않음
'중국티베트어족 > 광동어 | 廣東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 한자, 어떻게 쓸 것인가? (0) | 2025.03.05 |
---|---|
광동어 입력하기 - 창힐수입법 (1)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