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라어파/아티케 그리스어 | Ἀττική διάλεκτος

10.( )의문대명사·형용사 τίς와 부정대명사·형용사 τις

by LinguaDoya 2023. 11. 21.

이번 글에서는 "무엇? 누구? 왜?"등을 의미하는 의문대명사/의문형용사 τίς와 "어떤"을 의미하는 부정대명사/부정형용사 τις를 살펴보고자 한다.


형태는 다음과 같다.

위쪽이 의문대명사/의문형용사, 아래쪽이 부정대명사/부정형용사이다.

남성, 여성과 중성이 다른 형태를 갖는다.

의문대명사/의문형용사는 첫음절에 엑센트가, 부정대명사/부정형용사는 마지막 음절에 엑센트가 온다.

주의할 점은 부정대명사/부정형용사의 경우 모든 성의 sg.Nom.에서 엑센트가 없고, 중성의 경우 sg.Acc.도 그러하다는 점이다.

 

예문을 보면서 감을 잡아보자.

1. 의문대명사/의문형용사

(1) 의문대명사

τί ποιοῦσιν οἱ ἄνδρες; Ath.7β, p.127.
그 남자들이 무엇을 하는가?
τίσιν ἡγεῖσθε πρὸς τὸν ἀγρόν, ὦ παῖδες; Ath.7β, p.127.
누구를 밭으로 데리고 가니, 아이들아?

ἡγέομαι + Dat. 이끌다

βούλεται γὰρ γιγνώσκειν τίς ἐν τῷ ἄντρῳ οἰκεῖ. Ath.7α, p.112.
그는 동굴 안에 무엇이 사는지 궁금하였기 때문이다.

위는 간접의문문에 쓰인 예시이다.

τίνι ἐστὶν οὗτος ὁ κύων; ἔστι τῷ ἐμῷ πατρί. Ath.7β, p.127.[각주:1]
누구에게 이 개가 있는가?(이 개는 누구의 것인가?) -나의 아버지에게 있다.(나의 아버지의 개이다.)

(2) 의문형용사

εἰς τίνα νῆσον πλέομεν; Ath.7β, p.126.
무슨 섬으로 우리는 항해하는가?
τίνος πρόβατα τοσοῦτον ψόφον ποιεῖ; Ath.7β, p.127.
누구의 양이 그런 만큼의 소음을 내느냐?

 

2. 부정대명사/부정형용사

부정대명사/부정형용사 enclitic이다.[각주:2]

(1) 부정대명사

ἆρ' ὁρᾷς τινα ἐν τῷ ἄντρῳ; Ath.7β, p.126.
너는 동굴 속에서 무언가를 보느냐? (동굴 속에서 무언가가 보이느냐?)
ἐὰν οὖν προσφέρῃς τὸ δῶρόν σου ἐπὶ τὸ θυσιαστήριον κἀκεῖ μνησθῇς ὅτι ὁ ἀδελφός σου ἔχει τι κατὰ σοῦ (Matthew 5:23)[각주:3]
그러므로 예물을 제단에 드리려다가 거기서 네 형제에게 원망들을 만한 (어떤) 일이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마태복음 5:23)

(2) 부정형용사

부정형용사는 그 앞의 단어와 한 쌍이 되어 엑센트의 전위가 일어날 수 있다.

ταχέως οὖν καταβαίνουσι καὶ εἰς τὰς πύλᾱς ἀφικόμενοι τὸν ἡμίονον προσάπτουσι δένδρῳ τινὶ καὶ εἰσέρχονται. Ath.8β, p.144.
그들은 그래서 빠르게 걸어내려와 대문 쪽에 도착하고는 노새를 어떤 나무에 묶고 간다. 

앞 단어에 엑센트가 갈 수 없는 상황이다.

"λέγε ἡμῖν ἄλλον τινὰ μῦθον, ὦ μῆτερ." Ath.7α, p.111.
"어머니, 우리에게 다른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역시 엑센트가 갈 수 없다. 왜인지는 주석 1번에 연결된 글을 참고하라.

 

하지만 단순히 '어떤 이야기'라면

ὁ ἀνὴρ μῦθόν τινα τῇ παιδὶ λέγει. Ath.7β, p.127.
남편이 딸에게 어떤 이야기를 이야기한다.

엑센트가 이동할 수 있다.

Ἔφη αὐτῷ ὁ Ἰωάνης Διδάσκαλε, εἴδομέν τινα ἐν τῷ ὀνόματί σου ἐκβάλλοντα δαιμόνια, ὃς οὐκ ἀκολουθεῖ ἡμῖν, καὶ ἐκωλύομεν αὐτόν, ὅτι οὐκ ἠκολούθει ἡμῖν. (Mark 9:38)
선생님 우리를 따르지 않는 어떤 자가 주의 이름으로 귀신을 내어쫓는 것을 우리가 보고 우리를 따르지 아니하므로 금하였나이다. (마가복음 9:38)

이 경우에도 enclitic의 엑센트가 옮겨질 수 있는 조건이라 그렇게 되었다.


 

  1. ἔστι는 ἐστί(ν)인데 문두에 올 때는 이렇게 엑센트가 밀려난다. 또 οὐκ(아니다), μή(~지 마라), εἰ(만약에), ὡς(그렇게), ἀλλ’(그러나), τοῦτ’(여기에) 의 뒤에 올 때 또는 ἔστιν ὅτε(가끔)처럼 하나의 구로 쓰일 때 엑센트가 밀려난다.
      [본문으로]
  2. enclitic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시라. 링크 [본문으로]
  3. κἀκεῖ는 καὶ ἐκεῖ의 준말이다. 뜻은 "그리고 거기에" [본문으로]